제1차 회담
일정 : 2003년 8월 27일 ~ 29일.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(중국어 정체: 釣魚台國賓館, 간체: 钓鱼台国宾馆, 병음: Diàoyútái Guó Bīnguǎn, 영어: Diaoyutai State Guesthouse, 일본어: ちょうぎょだい-こくひんかん)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이수혁(李秀赫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영일(金永日) 외무성 부상
미국: 제임스 켈리(James Kelly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왕이(王毅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야부나카 미토리(藪中 三十二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로슈코프(Алекса́ндр Лосюко́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제2차 회담
일정 : 2004년 2월 25일 ~ 28일.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이수혁(李秀赫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제임스 켈리(James Kelly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왕이(王毅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야부나카 미토리(藪中 三十二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로슈코프(Алекса́ндр Про́хорович Лосюко́в ), 외무부 차관
[편집] 제3차 회담
일정 : 2004년 6월 23일 ~ 26일.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이수혁(李秀赫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제임스 켈리(James Kelly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왕이(王毅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야부나카 미토리(藪中 三十二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로슈코프(Алекса́ндр Про́хорович Лосюко́в ), 외무부 차관
[편집] 제4차 회담
[편집] 제1단계 회담
일정 : 2005년 7월 26일 ~ 8월 7일.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송민순 (宋旻淳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- 8월 7일 제1단계 회담 휴회.
- 9월 13일 베이징에서 제2단계 회담 재개.
- 9월 19일 공동성명 발표 및 회담 종료.
[편집] 제2단계 회담
일정 : 2005년 9월 13일 ~ 9월 19일.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송민순 (宋旻淳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제5차 회담
[편집] 1단계 회담
일정 : 2005년 11월 9일 ~ 11월 11일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송민순 (宋旻淳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2단계 회담
일정 : 2006년 12월 18일 ~ 12월 22일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천영우 (千英宇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세르게이 라조프(Сергей Разов), 주중 러시아 대사
[편집] 3단계 회담
일정 : 2007년 2월 8일 ~ 2월 13일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천영우 (千英宇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제6차 회담
[편집] 1단계 회담
일정 : 2007년 3월 19일 ~ 3월 22일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천영우 (千英宇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2단계 회담
일정 : 2007년 9월 27일 ~ 10월 3일
장소 : 베이징 조어대 국빈관.
- 각국 수석대표
대한민국: 천영우 (千英宇), 외교통상부 차관보
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: 김계관 (金桂寬) 외무성 부상
미국: 크리스토퍼 힐 (Christopher Hill),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
중화인민공화국: 우다웨이 (武大偉), 외교부 부부장
일본: 사사에 겐이치(佐佐江賢一郞),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
러시아: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(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еев), 외무부 차관
[편집] 회의의 결과
![]() |
[편집] 4차 6자 회담 공동성명 내용 요약
- (핵무기 관련)
- 6개국은 이번 회담의 목표가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루는 것임을 재확인.
- 북조선은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핵 확산 금지 조약와 IAEA의 안전조치에 복귀
- 미국은 한반도의 핵무기가 없으며 북조선을 공격하거나 침략할 의사가 없음을 확인
- 남한은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재확인하고 남한에 핵무기가 없음을 확인
- 북조선은 평화적 핵에너지 사용 권리가 있음을 확인, 적당한 시점에 북조선에 경수로 제공 문제를 논의할 것
- (북조선과 미일관계)
- 6개국은 유엔헌장을 준수하고, 국제관계 규범을 따르기로 함.
- 북조선과 미국은 상호간 주권을 존중하기로 합의. 평화적으로 상호 공존하며, 관계정상화 조치를 취할 것.
- 북조선과 일본은 평양선언에 따라 관계를 정상화시키기로 함.
- (경제협력 및 에너지제공)
- 6개국은 에너지, 교역, 투자분야에서 경제 협력을 증진시키기로 승낙
- 중국, 일본, 남한, 러시아, 미국은 북조선에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라는 의지를 밝힘.
- 남한은 북조선에 200만 kw 전력을 제공하는 7월의 제안을 재확인.
- (평화체제 협상)
- 6개국은 동북아에서 평화안정을 지속시키기 위한 공동 노력을 다짐
- 직접 당사자들은 한반도의 영구 평화체제를 위한 협상을 별도의 포럼을 통해 하기로 했음.
- (안보 협력 및 합의 실현 조치)
- 6개국은 동북아에서의 안보와 협력을 위한 방법을 찾아보자는 데 합의.
- 6개국은 단계적 방식으로, 상호 원칙에 따라 앞서 언급한 합의를 실현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.
- (5차 육자 회담)
- 6개국은 5차 6자 회담을 11월 초 베이징에서 열기로 합의.
[편집] 5차 6자회담에서 이루어진 '2·13합의' 내용
- 북한은 영변의 핵시설 가동을 중지하고 봉인한다. 여기에는 재처리시설도 포함된다. 또한 국제원자력기구(IAEA)의 요원을 다시 불러 필요한 감시와 확인을 하게 한다.
- 5개국은 북한에 대해 긴급 에너지 지원을 하는데 시작은 중유 5만 톤부터이다. 60일 이내에 이를 개시한다.
- 모든 6개국은 상호 신뢰 증진, 동북아의 평화 지속을 위한 공동 노력을 하기 위한 긍정적인 발걸음을 내디딜 것에 동의한다. 직적 당사국은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를 위해 적절한 별도의 포럼에서 협상한다.
- 6개국은 다음에 관한 5개의 실무그룹을 만든다. 한반도 비핵화, 북미관계 정상화, 북일관계 정상화, 경제와 에너지 협력, 동북아 평화와 안전에 관한 기구.
'국방논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정은 8.25 연설(조선신보) (0) | 2012.10.29 |
---|---|
핵확산 금지 조약(NPT) (0) | 2012.10.24 |
北"특별행동 개시" 대남위협 의도 (0) | 2012.04.27 |
북한의 선거개입(2) (0) | 2012.04.15 |
북한의 선거개입 (0) | 2012.04.15 |